Classic Series클래식 TKL 아크릴 커스텀 메뉴얼

Monstar C/S
조회수 2413

안녕하세요. 몬스타기어입니다.

이번 게시글은 클래식 TKL 아크릴 제품의 커스텀 작업입니다.

마찬가지로 1대만 판매 예정이며,

클래식 TKL 아크릴 블랙(WKL)+바다소금 리니어 스위치+화이트온블랙 키캡의 조합으로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블랙 색상의 제품을 빌드해 보았습니다.

기판은 MG87 솔더링 PCB 기판을 이용했습니다.


타건 영상


작업내용


PCB : MG87 솔더링 / 테이프 모드(3겹), 솔더링

스테빌라이저 : 듀록  무보강용 스테빌라이저(퍼플) 필름 장착 및 본사 윤활 / 작업방법 : LINK

스위치 : 바다소금 스위치 / 본사 윤활 / 작업방법 : LINK

키캡 : 몬스타기어 화이트온블랙

하부 흡음재 : 하우징 포장재 재단 후 사용



스테빌라이저


듀록 무보강용 스테빌라이저(퍼플) 상품 이용 했으며, 해당 상품은 별도로 7U 스테빌라이저가 동봉되어있지 않기에 별도의 자재가 이용되었습니다.

WKL에는 이용 불가능하나 일반 상품에는 사용 가능한 스테빌라이저입니다.

상품 링크 : LINK


Step 0, 하우징 설명


클래식 TKL 아크릴 제품은 총 7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 뱃지 부착과 나사선이 있는 최상단 층

2, 높이조절 상단층-1

3, 보강판

4, 기보강 층

5, 높이조절  하단층-1

6, 높이조절 하단층-2

7, 배터리 부착과 범폰이 있는 최하단 층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tep 1, PCB 작업

클래식 TKL 아크릴 DIY KIT을 구매하신 경우 먼저 PCB 불량 테스트 및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해 주셔야 합니다.

MG87 PCB 펌웨어 : LINK

MG87 PCB 소프트웨어 : LINK

상단의 펌웨어 링크에서 87키, WKL에 맞는 펌웨어 선택해서 업데이트 해주시면 됩니다.

(스플릿은 소프트웨어에서 설정 가능)


Step 2, PCB 무보강 스테빌라이저 장착

상단에 고지해 드렸던 스테빌라이저 상품이며 TKL 즉 87키 키보드까지 소화가 가능한 무보강 스테빌라이저입니다.

스테빌라이저 패드까지 포함된 상품이라 한 세트로 모든 튜닝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동봉된 용두 필름을 내부에 부착해 줍니다.


동봉된 스테빌라이저 바닥부 패드를 장착되는 자리에 잘 붙혀줍니다.


이후 윤활이 완료된 스테빌라이저를 잘 장착해줍니다.

스테빌라이저 윤활 방법 : LINK


Step 2, 하우징 분리

7번 최하단 층의 바닥부의 나사 13개를 모두 풀어줍니다.


이후에 기판 위에 살포시 기보강층과 보강판을 얹어줍니다.

꼭 무보강 스테빌라이저를 먼저 장착해주셔야 하며 순서가 뒤틀린다면 

전체 디솔더링을 다시해야하는 불상사가 발생하니 빌드 구상을 잘 하신 후 작업 부탁드립니다.


87키의 경우

L_CTRL / L_WIN / L_ ALT /  Space Bar(6.25U) / R_ALT / R_Win / Fn / R_CTRL 순입니다. 

L 쪽은 왼쪽 홀, R 쪽은 오른쪽 홀에 꽂으시면 됩니다.


WKL의 경우

L_CTRL(1.5U) / 막힘 / L_ ALT(1.5U)  / Space Bar(7U) / R_ALT(1.5U)  / 막힘 / R_CTRL(1.5U)  순입니다.

87키와는 반대로 L쪽은 오른쪽 홀, R쪽은 왼쪽 홀에 꽂으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Fn키의 부재로 R Shift를 스플릿 하여, Fn으로 구성하는 경우도 있으나

사용자에 따라 상이하지만 개인마다 사용을 하지 않는 키도 있기에 Pause, End, Home 등 잘 사용하지 않는 키에 Fn을 지정하셔도 됩니다.


Step 3-1, 납땜(솔더링)

스위치마다 체결력이 상이하기때문에, 보강판에 스위치를 장착한 후 먼저 2개의 핀 중 한개의 핀에만 납땜을 해줍니다.


Step 3-2. 스위치 완전 결착

보강판과 기판 유격 없이 스위치를 완전 결착하기 위해 미리 작업한 납땜을 녹이면서

기판과 스위치를 손가락으로 꾹 눌러주며 완전 체결 합니다.


Step 3-3, 마무리

남은 납땜을 Step 3-1과 같이 납땜하여 마무리 해줍니다.


Step 4, 키 입력 테스트(유선)

솔더링이 끝난 기판을 케이블을 연결하여 유선 입력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스페이스바 우측의 스위치는 왼쪽)


Step 4-1, 무선 테스트

스페이스바 우측의 스위치를 오른쪽으로 바꾼 후


무선 2.4Ghz : 

Fn+G 를 누른 후 Fn+P를 3초이상 눌러 인디케이터가 빠르게 깜빡이며 페어링 대기모드가 될때 무선 2.4Ghz 수신기를 PC에 연결하여 무선 기능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블루투스 : 

Fn+B 를 누른 후 Fn+P를 3초이상 눌러 인디케이터가 빠르게 깜빡이며 페어링 대기모드가 되면

연결하실 기기에서 기기를 찾아 연결해줍니다.


Step 5, PCB 테이프 모드

PCB 하단의 비전도성의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하여, 배터리와의 접촉으로 인한 쇼트방지 및 정갈한 타건음을 위한 테이프모드를 진행해줍니다.

여러겹을 바를수록 진동방지에 탁월하며 정갈한 소리가 나게 해줍니다.

1~2겹 : 필수

3~5겹 : 권장

6겹 이상~ : 두깨 고려해서 작업 부탁드립니다.


작업 후 배터리가 장착되는 홀은 뚫어줍니다.


Step 6, 하부 흡음재(선택)

하우징 포장재를 이용해 흡음재로 응용했습니다.
두깨가 적합하며, 기판 사이즈로 제단 후배터리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게 홀을 뚫어줍니다.


배터리는 3M 테이프 제거 후 하부 하우징에 부착해줍니다.


이후 체결 및 키캡을 장착하면 끝입니다.


최하단열이 1.5U 컨트롤, 알트 그리고 스페이스바는 7U 규격이 장착되었습니다.

장착 된 키캡은 자사의 화이트온블랙 키캡입니다.

제작이 다 되었으면 타건음 한번 들어보셔야죠!


타건 영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내용 : 블랙, 화이트를 제외한 클리어, 오로라, 스카이 등 색상에는 외부 보호필름이 있으니 제거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