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몬스타기어입니다.
키캡에는 정말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공정상의 분류부터, 높이, 사출, 재질 등 수많은 내용이 있는데요.
간단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재질
가장 대중적으로는 ABS, PBT 이 두가지가 가장 일반적인 재질입니다. 두가지 모두 플라스틱 계열입니다.
특징으로는
ABS : 강도가 PBT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며, 장시간 사용 시 번들거림이 발생합니다.
색감표현력이 뛰어나 고가의 GMK 키캡에 이용되는 재질입니다.
PBT : 강도가 ABS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며, 장기간 사용해도 번들거림이 적게 발생합니다.
색감표현력이 ABS에 비해 떨어집니다.
특이한 경우로 도자기, PC(폴리카보네이트), 금속으로도 제작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각인방식
실크 스크린 : 실크를 키캡에 프린팅 하는 방식입니다.
각인 내구성이 낮아 상품으로는 잘 제작되지 않으며, 개인이 제작하는 경우도 있는 각인 방식입니다.
레이저 각인 : 레이저로 키캡에 각인을 하는 방식입니다. 깔끔한 디자인이 어려우며, 색상에 따라 디테일이 달라집니다.
키캡마다 상이하여 영문 키캡 제품에 후처리로 한글 각인을 넣는다거나 할때 이용됩니다.
마찬가지로 상품으로는 잘 제작되지 않습니다.
이중사출(이색사출) : 색상이 다른 플라스틱을 각각 사출하여 각인하는 방식으로, 가장 강한 내구성을 가진 각인방식입니다.
테두리 마감또한 깔끔해서 퀄리티가 높은 편이며, 대중적인 방식의 각인 방식입니다.
염료승화 : 염료를 고온으로 침투시켜 각인하는 방식입니다. 이중사출과 함께 내구성이 강한축에 속하며, 그림이 있거나
이중사출로 표현하기 힘든 디자인의 키캡 제작시 주로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이중사출보다는 테두리마감에 번짐이 있는 편입니다.
인그레이브 인필드 : 음각 키캡에 염료를 채우는 방식의 각인입니다.
디테일은 이중사출과 염료승화의 중간정도로 판단이 가능합니다.
프로파일
OEM 프로파일(OEM Profile) : 체리사의 프로파일 입니다.
체리 프로파일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며, 역방향 스위치 체결방식의 제품에 주로 이용됩니다.
주로 스텝 스컬쳐가 적용되어 가장 익숙하고, 편리한 방식이기도 합니다.
정방향, 역방향 간섭이 없는 키캡 이기도 합니다.
체리 프로파일(Cherry Profile) : 체리사의 프로파일 입니다.
OEM 프로파일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며, 역방향 스위치와의 간섭 이슈로 주로 정방향 스위치 체결 키보드에 이용됩니다.
마찬가지로 스텝 스컬쳐가 적용되어있습니다.
XDA Profile : 주로 염료승화로 제작되며 스텝 스컬쳐가 적용되지 않은 평평한 키캡입니다.
DSA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며, 평평한 디자인덕분에 익숙해지기 전까지 오타가 많이 발생하는 프로파일입니다.
디자인적인 키캡이 많기때문에 이쁜 키보드를 제작하는분들이 많이 이용하는 프로파일입니다.
정방향, 역방향 간섭이 없는 키캡 이기도 합니다.
DSA에 비해 손가락이 닿는 면적이 더 넓습니다.
자사에서는 취급하고 있지 않습니다.
DSA Profile : 주로 염료승화로 제작되며 스텝 스컬쳐가 적용되지 않은 평평한 키캡입니다.
XDA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며, 평평한 디자인덕분에 익숙해지기 전까지 오타가 많이 발생하는 프로파일입니다.
디자인적인 키캡이 많기때문에 이쁜 키보드를 제작하는분들이 많이 이용하는 프로파일입니다.
정방향, 역방향 간섭이 없는 키캡 이기도 합니다.
자사에서는 취급하고있지 않습니다.
SA Profile : 일반적인 프로파일 중 가장 높은 프로파일입니다.
확실한 매니아층이 있는 프로파일입니다.
스텝 스컬쳐와 유사하게 가로열별로 높이가 다른 키캡이기도 합니다.
LP(Low Profile) : 컴팩트한 제품이나 얇은 키보드에 사용되는 매우 낮은 프로파일입니다.
마찬가지로 LP 타입 스위치에 사용이 가능하며, 명확한 기준이 없는 프로파일 입니다.
MT3, MG, MDA 등 브랜드의 특수 규격들 또한 다수 있습니다.
스텝 스컬쳐
키보드 각 열의 키캡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타건에 편리함을 제공하기위한 설계방식이며, 프로파일에 따라 적용유무가 다릅니다.
키캡의 사이즈
일반적인 키보드의 키캡 사이즈표 이며 일반적인 A, S ,D 같은 알파벳쪽의 키캡을 1u라고 측정했을때 상대적인 비율로 표현합니다.
배열 레이아웃에 따라 CTRL 키와 ALT는 1.5u가 되는 경우또한 있으며
7U의 스페이스바
1.75u의 R Shift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ANSI, ISO ? 뭘까?
키보드의 레이아웃으로 인지하시면 편합니다.
우리가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키보드의 경우 ANSI 방식입니다.
ISO의 특징으로는 L Shift가 짧으며, \키가 없이 엔터키가 통째로 하나의 키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몬스타기어입니다.
키캡에는 정말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공정상의 분류부터, 높이, 사출, 재질 등 수많은 내용이 있는데요.
간단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재질
가장 대중적으로는 ABS, PBT 이 두가지가 가장 일반적인 재질입니다. 두가지 모두 플라스틱 계열입니다.
특징으로는
ABS : 강도가 PBT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며, 장시간 사용 시 번들거림이 발생합니다.
색감표현력이 뛰어나 고가의 GMK 키캡에 이용되는 재질입니다.
PBT : 강도가 ABS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며, 장기간 사용해도 번들거림이 적게 발생합니다.
색감표현력이 ABS에 비해 떨어집니다.
특이한 경우로 도자기, PC(폴리카보네이트), 금속으로도 제작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각인방식
실크 스크린 : 실크를 키캡에 프린팅 하는 방식입니다.
각인 내구성이 낮아 상품으로는 잘 제작되지 않으며, 개인이 제작하는 경우도 있는 각인 방식입니다.
레이저 각인 : 레이저로 키캡에 각인을 하는 방식입니다. 깔끔한 디자인이 어려우며, 색상에 따라 디테일이 달라집니다.
키캡마다 상이하여 영문 키캡 제품에 후처리로 한글 각인을 넣는다거나 할때 이용됩니다.
마찬가지로 상품으로는 잘 제작되지 않습니다.
이중사출(이색사출) : 색상이 다른 플라스틱을 각각 사출하여 각인하는 방식으로, 가장 강한 내구성을 가진 각인방식입니다.
테두리 마감또한 깔끔해서 퀄리티가 높은 편이며, 대중적인 방식의 각인 방식입니다.
염료승화 : 염료를 고온으로 침투시켜 각인하는 방식입니다. 이중사출과 함께 내구성이 강한축에 속하며, 그림이 있거나
이중사출로 표현하기 힘든 디자인의 키캡 제작시 주로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이중사출보다는 테두리마감에 번짐이 있는 편입니다.
인그레이브 인필드 : 음각 키캡에 염료를 채우는 방식의 각인입니다.
디테일은 이중사출과 염료승화의 중간정도로 판단이 가능합니다.
프로파일
OEM 프로파일(OEM Profile) : 체리사의 프로파일 입니다.
체리 프로파일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며, 역방향 스위치 체결방식의 제품에 주로 이용됩니다.
주로 스텝 스컬쳐가 적용되어 가장 익숙하고, 편리한 방식이기도 합니다.
정방향, 역방향 간섭이 없는 키캡 이기도 합니다.
체리 프로파일(Cherry Profile) : 체리사의 프로파일 입니다.
OEM 프로파일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며, 역방향 스위치와의 간섭 이슈로 주로 정방향 스위치 체결 키보드에 이용됩니다.
마찬가지로 스텝 스컬쳐가 적용되어있습니다.
XDA Profile : 주로 염료승화로 제작되며 스텝 스컬쳐가 적용되지 않은 평평한 키캡입니다.
DSA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며, 평평한 디자인덕분에 익숙해지기 전까지 오타가 많이 발생하는 프로파일입니다.
디자인적인 키캡이 많기때문에 이쁜 키보드를 제작하는분들이 많이 이용하는 프로파일입니다.
정방향, 역방향 간섭이 없는 키캡 이기도 합니다.
DSA에 비해 손가락이 닿는 면적이 더 넓습니다.
자사에서는 취급하고 있지 않습니다.
DSA Profile : 주로 염료승화로 제작되며 스텝 스컬쳐가 적용되지 않은 평평한 키캡입니다.
XDA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며, 평평한 디자인덕분에 익숙해지기 전까지 오타가 많이 발생하는 프로파일입니다.
디자인적인 키캡이 많기때문에 이쁜 키보드를 제작하는분들이 많이 이용하는 프로파일입니다.
정방향, 역방향 간섭이 없는 키캡 이기도 합니다.
자사에서는 취급하고있지 않습니다.
SA Profile : 일반적인 프로파일 중 가장 높은 프로파일입니다.
확실한 매니아층이 있는 프로파일입니다.
스텝 스컬쳐와 유사하게 가로열별로 높이가 다른 키캡이기도 합니다.
LP(Low Profile) : 컴팩트한 제품이나 얇은 키보드에 사용되는 매우 낮은 프로파일입니다.
마찬가지로 LP 타입 스위치에 사용이 가능하며, 명확한 기준이 없는 프로파일 입니다.
MT3, MG, MDA 등 브랜드의 특수 규격들 또한 다수 있습니다.
스텝 스컬쳐
키보드 각 열의 키캡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타건에 편리함을 제공하기위한 설계방식이며, 프로파일에 따라 적용유무가 다릅니다.
키캡의 사이즈
일반적인 키보드의 키캡 사이즈표 이며 일반적인 A, S ,D 같은 알파벳쪽의 키캡을 1u라고 측정했을때 상대적인 비율로 표현합니다.
배열 레이아웃에 따라 CTRL 키와 ALT는 1.5u가 되는 경우또한 있으며
7U의 스페이스바
1.75u의 R Shift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ANSI, ISO ? 뭘까?
키보드의 레이아웃으로 인지하시면 편합니다.
우리가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키보드의 경우 ANSI 방식입니다.
ISO의 특징으로는 L Shift가 짧으며, \키가 없이 엔터키가 통째로 하나의 키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